2015년 7월 24일 금요일

kloser trend watch 20150724

1. 대한민국 모바일어워드 7월의 으뜸앱은?

<'대한민국 모바일 어워드 2015' 7월 시상식의 우수 앱 수상자와 시상자들>

  • '대한민국 모바일 어워드 2015' 7월의 우수 모바일 서비스에 '솔버', '잔디', '주니몽', '카카오택시'가 선정됐다.
  • '대한민국 모바일 어워드'는 머니투데이와 미래창조과학부가 모바일 시장을 활성화 하기 위해 주최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모바일 시상이다.
  • '솔버'는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를 대신해 주차해 주는 서비스로, 엄격하게 선발하고 교육한 전문 기사가 솔버 보유의 주차장에 안전하게 주차하고 요청 시간과 장소에 맞춰 자동차를 돌려준다.
  • '잔디'는 업무관련 파일 전송 기능과 데이터 보안, 클라우드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용 메신저 서비스이다.
  • '주니몽'은 전 세계 아이들이 그림을 그리면서 공유하고, 친구를 만들 수 있는 그림그리기 SNS이다.
  • '카카오택시'는 앱 실행만으로도 언제 어디서든 쉽게 택시를 호출하는 서비스이다.
  • 이날 선정된 으뜸앱 개발사들은 대한민국모바일포럼 가입자격을 얻게 되고 해외시장 진출시 각종 자문과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, 앱스토어 메인 노출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.
Source) 중앙일보 2015.7.24
http://joongang.joins.com/article/416/18306416.html?cloc=joongang%7Cext%7Cgooglenews


2. 페이스북, 레노버, 로지텍… 로고변경 통해 변화 꾀하는 IT 기업들

  • 최근 IT 업계에서 새로운 로고를 바탕으로 변화를 꾀하려는 업체들이 눈에 띈다.
  • 이 업체들은 새로운 로고를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IT 업계에서 그 변화의 흐름을 어떻게 이끌어나갈 것인가를 제시하고 있다.
<페이스북의 과거 로고와 현재 로고>
  • 페이스북은 모바일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10년만에 로고를 교체했다.
  • 페이스북 이용자의 85% 이상이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해 모바일 기기에서 읽기 쉽게 변경한 것이다.
  • 이는 페이스북이 사용자의 이용 패턴이 모바일로 넘어간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.
<레노버의 과거 로고와 현재 로고>
  • 레노버는 지난 5월, 출범 10년을 맞아 개최한 자사 최초 기술 컨퍼런스인 테크 월드에서 새로운 로고를 발표했다.
  • 로고의 색상과 모양이 친근하고 역동적인 느낌을 줌으로써, 끊임없이 변화하고 소비자들에게 좀더 친근하게 다가가겠다는 레노버의 의지를 답고 있다.
  • 레노버는 로고 변경과 함께 디지털 세계에서 혁신을 이끄는 기업이 될 것이라는 의지를 밝혔다.
<로지텍 과거 로고와 현재 로고>
  • 로지텍은 새롭게 디자인된 로고를 선보이며 브랜드 정체성에 새 활기를 불어넣고 창의적 발상과 혁신적 제품을 통한 다양한 변화를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.
  • 로지텍은 디자인 혁신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냈으며 이번 로고 변경으로 첨단 기술과 디자인이 어우러진 제품을 선보이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.
Source) Platum 2015.7.24
http://platum.kr/archives/43356



3. 10년 후 한국사회 움직일 기술 '전략육성'


  • 10년 후 사회이슈로 꼽히는 '저출산·고령화', '자원고갈'과 같이 부정적이고 무겁기만한 일들을 해결하는데 과학기술이 해결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.
  • 미래사회와 기술의 연관성은 복잡하고 예상하기 어렵지만, 정책을 제대로 수립하기 위해 이 연관성을 이해하고 정립해야 한다.
  •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는 10년 후 관점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10대 이슈와 핵심기술 15개를 분석했다.
  • 10대 이슈는 저출산·초고령화, 불평등문제, 미래세대 삶의 불안정성, 고용불안, 국가간 환경영향 증대, 사이버범죄 등으로 나타났다.
  • 15개 핵심기술은 사물인터넷(IoT), 빅데이터, 인공지능, 웨어러블 디바이스, 나노소재, 3차원 프린터, 신재생에너지, 자원 재활용 기술 등이 꼽혔다.
  • 핵심기술이 이슈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이슈의 해결책이 될 수도 있는 관계를 맺고 있다.
  • 이슈와 핵심기술간 상관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조업 혁명은 '3D프린터'와 가장 높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  • 에너지 및 자원고갈 이슈는 '신재생에너지' 기술이나 '에너지·자원 재활용기술'과 연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.
  • 삶의 질을 중시하는 라이프스타일에는 'IoT'가 밀접하게 연관된 기술로 꼽힌다.
  • 미래준비위원장은 미래 대응전략을 위해 이슈와 과학기술을 함께 고려한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.
Source) 머니투데이뉴스 2015.7.24
http://www.mt.co.kr/view/mtview.php?type=1&no=2015072403329960591&outlink=1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