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5년 7월 17일 금요일

kloser trend watch 20150717

1. 20대 일평균 모바일 이용 시간 '3시간 44분'

<20대 일평균 모바일 이용 시간 조사>

  • 대학내일20대연구소와 KT경제경영연구소가 공동으로 전국 20대 남녀 9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.
  • 20대의 일 평균 모바일 이용시간이 3시간 44분인 것으로 드러났다.
  • 하루동안 모바일을 사용하는 상황을 조사한 결과 휴식시간(일 평균 50.2분)에 모바일을 가장 많이 이용했다.
  • 모바일이 가장 절실히 필요하다고 느끼는 순간은 대중교통 이용 시(27.6%)라고 응답하였으나, 가장 집중해서 이용하는 시간은 취침 시간(26.5%)인 밤 12시에서 새벽 1시인 것으로 보인다.
  • 원하는 정보를 찾을 때는 네이버(78.5%)를 압도적으로 선호하였으며 최신 이슈가 궁금할 때도 네이버를 가장 먼저 찾았다.
  • 타인과의 네트워킹은 단연 카카오톡(78.0%)이 1위였다.
  • 타인과의 네트워킹 시 페이스북을 선호한다는 20대는 11.7%였지만, 시간을 때울 때 페이스북을 선호하는 20대는 40.0%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.
<20대 모바일 콘텐츠 이용 행태 분석>
  • 20대가 일주일간 소비한 콘텐츠 4개 중 1개는 동영상(25.4%)으로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.
  • 콘텐츠의 완독 비율은 모두 절반에 미치지 못했으며, 주제 역시 가벼운 것을 선호하였다.
<20대 모바일 마케팅 조사 결과>
  • 온라인 쇼핑 시 모바일 이용을 편하게 생각하는 비율은 40.2%로 비교적 낮았으나, 성장률이 높은 분야이기 때문에 모바일 이용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.
  • 모바일 광고를 재미있게 보거나(57.4%) 참신하다고 생각(47.4%)하는 비율은 높은 편에 속했다.
  • 조사를 진행한 연구원은 20대에게 광고는 흥미성 콘텐츠 이상이 아니며, 필요한 제품 혹은 서비스를 선택할 때는 해당 콘텐츠의 진위 여부를 치밀하게 검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설명하였다.
Source) 아시아경제 2015.7.17
http://view.asiae.co.kr/news/view.htm?idxno=2015071710282843045


2. 페북·트위터에서 '바로구매'…'SNS 커머스' 영향력 증대

  • 기존 온라인 기반 분야의 모바일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전자상거래의 모바일화도 점차 두드러지고 있다.
  • 핀터레스트·트위터에 이어 페이스북도 이커머스 서비스를 붙이면서 SNS가 새로운 쇼핑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다.
  • 앞서 핀터레스트는 지난달 미국 내 애플 기기에 한정해 앱 안에서 제품을 살 수 있는 '구매 핀' 기능을 추가했다.
<핀터레스트 앱 인터페이스>
  • 소셜 커머스 2015 보고서에 따르면 소셜미디어는 다른 온라인 채널에 비해 이커머스 트래픽 지분 상승이 두드러졌다.
  • 소셜미디어는 2014년 1분기~2015년 1분기 동안 지분율이 2배 가까이 증가했다.
  • 핀터레스트의 경우 트위터보다 6.5배 적은 이용자 수에도 불구하고 소셜 미디어로 인한 이커머스 수입의 16%를 차지하였다.
  • 트위터는 스포츠나 이벤트 등 위치 기반 프로모션에서 강세를 보였다.
  •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은 온라인 상에서보다 모바일 상에서 35% 가량 더 적게 이커머스 광고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Source) 머니투데이 2015.7.17
http://www.mt.co.kr/view/mtview.php?type=1&no=2015071508523450365&outlink=1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