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페이스북, 움직이는 GIF 이미지 지원
- GIF는 애니메이션 등 이미지의 움직임 효과를 낼 수 있는 일종의 압축 포맷으로, JPG와 함께 자주 활용되고 있다.
- 그동안 페이스북은 GIF 지원을 반대해왔다. 이는 뉴스 피드의 분위기가 너무 복잡해질 수 있고, 글을 읽는 이용자들이 불편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.
- 페이스북은 지난 2013년 후반부터 자동 재생 비디오 기능을 지원하면서 이용자의 좋은 반응을 얻기도 했다.
- 페이스북이 기존 정책을 갑자기 변경한 이유는 트위터 등 경쟁 매체가 GIF를 지원하면서 기조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.
- 다만 직접적으로 GIF 파일을 업로드 할 순 없고, 'https://**.gif'형태의 링크 형식으로 올려야 한다.
Source) 위키트리 2015.06.01
![]() |
<페이스북이 GIF형식의 파일을 지원하기 시작했다.> |
2. 2015년 인터넷 트렌드 - '다시 상상하라'
- 투자 회사 KPCB의 분석가 매리 미커가 '2015년 인터넷 트렌드를 발표했다. 올해 분량은 특히 197페이지에 이른다.
- 1995년 인터넷 사용인구는 약 3500만명이고 2014년에는 28억명이다. 현재 인터넷 사용 인구는 전세계의 39%이다.
- 미국 기준, 성인 1명이 하루에 인터넷에 접속하는 시간은 2015년 5.6시간이다. 이용 시간이 급격히 늘어난 이유는 2011년 쯤 모바일 인터넷이 성장하면서다.
- PC는 08년 2.2시간에서 15년 2.4시간으로 큰 변화가 없지만, 모바일은 0.3시간에서 2.8시간으로 늘었다. 사실상 PC보다 모바일로 인터넷에 더 많이 접속하고 있다.
- 모바일은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면서 광고와 결제 시장에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.
- 우리가 늘 SNS에서 '좋아요' 버튼을 누르듯 이제는 '구입' 버튼을 누르며 더 쉬운 결제를 하고 광고와의 접점은 더 늘어날 것이다.
- 모바일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것은 밀레니얼 세대이다. 이들의 87%가 스마트폰에서 절대 떨어지지 않았고, 80%는 눈 뜨면 스마트폰부터 본다.
- 가장 흥미로운 변화는 모바일이 세상의 소비 흐름을 바꾸고 있다는 해석이다.
- 매리 미커는 미국인이 가장 많이 소비하는 분야를 3가지로 뽑았다. 집, 이동, 음식이다.
- 매리 미커는 미국의 성장세는 주춤하게 되고, 중국이 시장의 중심으로 성장할 가능성을 짚었다.
- 그 뒤를 따라 늦게 시동을 건 인도가 커갈 것으로 본다. 모바일의 성장이 국가별 경제 성장까지도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.
- 보고서의 전반적인 주제는 ‘Re-Imagination'(리이매지네이션)에 중심이 쏠려 있다. 다시 상상해보라는 것이다.
- 세상은 늘 빠르게 바뀌고 있지만 모바일이 우리 삶의 중심에 들어오면서 그 변화의 속도는 더 빨라진다. 생활 습관이 달라지고, 머릿속 가치관에도 변화가 생길 수밖에 없다.
- 그리고 세상은 플랫폼 중심의 서비스들이 장악하고 있습니다.
Source) 블로터 2015.06.01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