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5년 4월 30일 목요일

kloser trend watch 20150430

1. 잘 나가는 '라인' 마트, TV, 택시 '전방위 영토확장


  • 네이버가 일본과 동남아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무료메신저인 '라인' 덕분에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.
  • 올 1Q 매출 중 해외매출은 전체의 33%이며 라인의 월간 활동 사용자 수(MAU)는 2억 5백만 명이다.
  • 라인의 MAU 증가 원인은 기존 지역에서의 사용성 증가와 함께, 태국, 인도네시아, 중동 등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자 유입이 큰 힘이 됐다.
  • 라인과 함께 신규 서비스도 점차 자리를 잡아가게 되었다.(ex. 라인페이)
  • 김상헌 네이버 대표는 "라인 신규 컨텐츠의 지속적인 출시를 통해 라인 브랜드 확립과 합께 이용자 증대를 이어나갈 계획"이라고 말했다.
 
<네이버 대표 메신저 '라인'>
 
 
 

<네이버 '라인택시'>
 
 

2. 구글, 안드로이드에도 '개발자용 크롬' 배포

 
  • 구글플레이를 통해 새로 제공되는 개발자용 브라우저는 용도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배포되는 크롬 애플리케이션 가운데 '데브' 채널에 해당한다.(스테이블, 베타, 데브, 카나리)
  • 데스크톱 환경에선 4가지 크롬을 모두 쓸 수 있었지만, 구글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장터인 구글플레이에서 내려받을 수 있는 크롬 브라우저는 스테이블 및 베타 채널로만 제공 됐다.
  • 이제 구글은 구글플레이에서 스테이블, 베타, 데브 3가지 배포판을 정기적으로 내놓을 방침이다.
  • 구글 크롬 개발팀에 따르면 구글플레이에서 제공하는 개발자용 크롬이 다른 플랫폼 기반으로 만들어 지는 개발자용 크롬과 대략적으로 같은 배포 일정을 따를 것이다.
Source) ZD넷코리아 2015.04.30
 
 
<안드로이드에서도 '개발자용 크롬'이 배포된다.>
 
 

3. 인스타그램, 음악 마니아 위한 '뮤직' 계정 신설

  • 인스타그램이 음악 마니아 회원들을 위한 공식 채널을 개설하고 음악과 관련한 다양한 소식들을 전달할 예정이다.
  • 인스타그램 뮤직은 전세계의 음악 산업 관련 컨텐츠를 3억명의 인스타그램 커뮤니티에 소개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다.
  • 인스타그램에 따르면 인기 계정 중 25%가 음악과 관련돼있다. 즉, 인스타그램 내 최고 인기 계정 중 약 1/4이 음악가라는 얘기다.
  • 단, 뮤직 채널을 상업적인 목적으로 활용하지는 않기로 했다.
  • 이 뮤직 계정에는 다양한 해시태그를 주제로 하는 6개의 게시물이 매주 올라온다.
  • 케빈 시스트롬 인스타그램 대표는 "음악은 인스타그램 커뮤니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인스타그램 뮤직을 통해 평소 발견하지 못한 새로운 음악을 발견하길 기대한다."고 말했다.
Source) ZD넷코리아 2015.04.30
 
 
<인스타그램 아태지역 홍보담당자가 화상 통화를 통해 뮤직 계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.>
 


2015년 4월 29일 수요일

kloser trend watch 20150429

1. 텐센트, 스마트기기 운영체제 'TOS' 공개


  • TOS는 오픈소스 운영체제로 개발자와 제조업체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수익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서비스 될 예정
  • TV와 스마트워치 등 스마트 기기를 지원하며 텐센트의 서비스 메신저 계정과 연동 및 모바일 결제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.
  • 구글의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없는 중국 시장에서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외신은 예상했다.

<텐센트의 스마트기기 전용 OS 'TOS'>

 

2.  네이버, 관심사 기반 SNS '폴라' 29일 정식서비스


  • 네이버 폴라가 라인과 밴드의 바통을 이을지 주목된다.
  • 폴라는 관심사 기반의 SNS다. 작성자에 상관없이 관심 영역에 대해 생성되는 모든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기존 SNS와 차별화된 재미를 전달한다는 게 네이버의 설명이다.
  • 폴라 이용자들은 사진을 통한 관계 맺기에 호응을 보이고 있다.
  • 글로벌을 겨냥한 서비스인 폴라는 구글 지도를 넣어 서비스를 시작해 글로벌 원빌드 서비스를 만들었다.
Source) 디지털데일리 2015.04.29
http://www.ddaily.co.kr/news/article.html?no=129764
 
 
 
<네이버의 새로운 SNS '폴라'>


2015년 4월 28일 화요일

kloser trend watch 20150428


 1. 페이스북 메신저로 영상통화 가능해진다.

  • 페이스북 메신저 앱의 영상통화 기능은 iOS와 안드로이드 모바일기기 모두에서 사용 가능하며 두 운영체제 간 상호 호환도 가능하다.
  • 이는 문자기능을 사용하다가도 언제든 영상통화로 전환 할 수 있어 스카이프나 페이스타임보다 더 용히다는 분석이다.
  • 페이스북 측은 새 영상통화 기능이 27일 총 18개 국가에 출시됐고, 다른 나라에도 내달 출시를 확장할 방침.
  • 치브노브스키는 "적어도 올해까지도 메신저앱 영상통화기능으로 수입 창출을 노리지 않을 것"이라며 통신회사 위협에 대한 의견을 진화했다.
Sourece) ChosunBiz 2015.04.28
 
 
페이스북 매신저 앱에 영상통화 기능이 추가된다 / 페이스북 홈페이지 제공



 

2.  인스타그램, 해시태그 이모티콘 기능 강화(새로운 필터 3종 추가)

  • 인스타그램은 해시태그에 넣은 '이모티콘'이 검색 시에도 나타나는 기능을 추가했다고 밝혔다.
  • 해시태그는 인스타그램 사용자에게 익숙한 기능이지만, 게시물의 약 절반에 이모티콘이 사용되고 있다.
  • 인스타그램 커뮤니티 관리자는 "이모티콘은 인스타그램을 북돋아 주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며 인스타그램에는 이모티콘의 문화가 이미 뿌리 내리고 있다."고 말했다.
  • 이 밖에 라크, 리예스, 주노 등 세가지 종류의 필터가 추가됐다.
  • 인스타그램은 서비스를 시작한지 약 4년이 되는 작년 12에 월 활동 이용자 수가 3억명을 넘었다. 현재 1일 평균 활동 이용자 수는 2억명으로 1년 만에 두 배로 늘었다.
  • 이달 기준 인스타그램의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21분이다.
 
 
새로운 필터의 이미지. 왼쪽부터 라크, 리예스, 주노
 

2015년 4월 27일 월요일

kloser trend watch 20150427


1. 메신저 킨 페이스북에 토종 SNS, 메신저 '빨간불'

  • 다음카카오에 따르면 국내 1위 점유율을 가진 인터넷 메신저 카카오톡 월 활동사용자수(MAU)는 3700만명(2014년 4분기 기준이다.
  • 페이스북 국내 MAU는 1400만명 수준인데 이들이 모두 메신저를 활요ㅇ한다고 전제하면 페이스북 메신저 이용자는 카카오톡 약 37% 수준으로 적지 않다.
  • 메신저 기능을 빼고 SNS 서비스로만 따지면 페이스북이 체류시간(코리안클릭 기준)에서 압도적으로 1위다.
  • 포털 관계자는 "메신저(카카오톡)을 기반으로 한 카카오스토리가 순 이용자로는 제일 많은데 체류시간은페이스북이 높다"며 페이스북이 메신저를 강화하기 시작하면 국내 SNS, 메신저 운영사도 대응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없을 것"이라고 말했다.
  • 장중혁 애틀러스리서치앤컨설팅 부사장은 "적은 이용자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찾아야 한다. 지역과 연계한 O2O(Online to Offline)서비스가 대표적"이라고 강조했다.
http://www.etnews.com/20150403000129
source) 전자신문/ETNEWS 2015.04.05

<2014 페이스북 현황>


 2. 트위터, 혁신과 진화 동영상 SNS 플랫폼 안착 '성공'

  • 트위터가 LIVE 동영상 생중계 서비스와 동영상 촬영/편집/공유까지 가능한 혁신적인 동영상 서비스를 잇따라 국내에 발표
  • 트위터코리아는 국내 트위터 사용자의 74%가 트위터로 동영상을 시청하고 있다고 밝혔다.
  • 트위터 동영상 시청의 90%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소비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남(2015.04월 기준)
  • 트위터에 따르면 이처럼 트위터가 동영상 SNS 플랫폼으로 빠르게 국내 시장에 안착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다양한 동영상 서비스를 발빠르게 국내 시장에 소개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됨.
  • 그 결과 트위터의 동영상 콘테ㄴ츠를 활용한 국내 광고 시장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.